[Kotlin + SpringBoot] @Transactional 안에서 외부 API 호출 시 발생하는 문제
·
Java & Kotlin/JPA
🧐 들어가기전@Componentclass ChatFacade( private val threadService: ThreadService, private val chatService: ChatService, private val openAiService: OpenAiService,) { @Transactional fun handleChat( userId: Long, question: String, isStreaming: Boolean?, model: String? ): Chat { val thread = threadService.upsertThread(userId) val previousChats ..
[Kotlin + SpringBoot] Flowise + LLM 에러분석 자동화 적용기
·
Java & Kotlin
🧐 들어가기전개발과 운영의 경계에서 늘 서비스 안정성에 대한 고민은 계속됐다. 특히 예측 불가능한 에러가 발생했을 때, 빠른 인지와 정확한 원인 분석은 장애 시간을 최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매번 발생하는 에러 로그를 일일이 확인하고 그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유의미한 패턴과 근본 원인을 찾아내는 일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고된 작업이었다.이 과정 속에서 조금 더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 그러던 중 최근 토스(Toss) 테크 글을 보게 됐고, "에러를 누군가가 분석해주고 결과와 해결 방법만 제시해서 알림만 오도록 구현할 수 있다면?"이라는 상상이 현실로 실현되는 자동화 구축 사례를 접했다. 해당 글을 참고하며, 우..
[JSP] 서블릿, 서블릿 컨테이너 (feat.톰캣)
·
Java & Kotlin
🧐 들어가기전 최근에 k6로 부하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요청이 몰릴 때 톰캣이 밀리며 응답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상 자체는 이해가 갔지만, 정작 '톰캣이 밀린다'는 게 정확히 어떤 구조적인 이유에서 비롯된 건지는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톰캣이 뭔가 처리를 못하고 대기열이 쌓이는 건 알겠는데, 그 안에서 서블릿은 어떤 역할을 하고, 서블릿 컨테이너는 어디까지 책임지는지 등 기본적인 개념이 모호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톰캣의 동작 원리를 중심으로, 그 핵심 구성 요소인 서블릿과 서블릿 컨테이너에 대해 제대로 정리해보려고 한다.🔸Servlet(서블릿)1️⃣ 서블릿이란? 자바 기반의 웹 요청 처리용 서버 사이드 컴포넌트로, HTTP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그 결과를..
[Spring Data JPA] Offset 기반 Pagination 성능 향상하기 (index 설정, count 쿼리 캐싱)
·
Java & Kotlin/JPA
🧐 들어가기전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Pageable을 활용한 검색 필터링 API를 구현해야 했다. 이 API는 프로젝트의 핵심 자재인 원단을 등록하고 조회할 때 사용되며, 비즈니스 로직의 특성상 원단은 빈번하게 조회해야 하며, 조회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 단계의 로직이 수행되기 때문에 조회 성능이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해당 API는 총 다섯 개의 파라미터를 받는다.page, size, startDate, endDate, 그리고 fabricTypeName이며, 이 중 fabricTypeName만 필수로 입력받고 나머지 값들은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JPA Repository에서는 아래와 같이 @Query를 사용하여 JPQL로 조회 조건을 정의하였다: @Query( """ SELECT f F..
[Spring Data JPA] Pageable, Page, Slice 뜯어보기 (JPA에서 Page를 생성하는 내부 동작)
·
Java & Kotlin/JPA
🧐 들어가기전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네이버 카페 등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들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다. 바로 모든 데이터를 한 번에 보여주지 않고 필요한 만큼만 잘라서 보여준다는 점이다. 사용자는 현재 보고 있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음", "이전", 또는 "특정 페이지"를 요청하고 시스템은 이에 맞는 데이터 일부만을 응답한다. 이는 단순히 UX의 문제만은 아니다. 수천, 수만, 수백만 건에 달하는 데이터를 한 번에 응답하는 일은 서버에 큰 부하를 주고 성능 저하나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위 사진처럼 N개의 데이터만 보여주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음 혹은 이전 순번의 N개의 데이터를 볼 수 있게 구현하는 것을 통해 이러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Kotlin + Spring] JPA Entity 캡슐화 유지하는 방법 (field vs property, lazy-loading, private set, protected set)
·
Java & Kotlin/JPA
🧐 들어가기 전코프링으로 JPA Entity를 설계하던 도중 문득 의문이 생기게 되었다. 자프링에서는 보통 엔티티의 필드를 정의할 때 private로 외부로의 필드의 노출을 막고, 롬복 어노테이션을 통해 getter나 setter를 제공하여 해당 메서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객체지향적인 특성을 만족시켜 주었다.그러나 Spring 공식문서를 살펴보면, 코프링의 Entity를 설계할 때는 private와 같은 접근제어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왜 private 접근제어자를 사용하지 않는지, 그렇다면 어떻게 객체지향적인 특성을 만족하면서 설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Kotlin은 Field의 개념이 아닌 Property의 개념프로그래밍에서 필드(Field)와 프로퍼티(proper..
J_hzlo
'Java & Kotlin'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