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로 로드밸런서 구현하기] Registration (3)
·
Distributed System
✅ Registration 로드밸런서의 첫번째 기능인 Registration을 구현하고자 한다. 각각의 조건 살펴보면각각의 서버는 로드밸런서에 연결되어야 한다그리고나서, 로드밸런서는 listen할 프로토콜과 포트를 등록한다.로드밸런서는 listen할 프로토콜과 포트를 bind한다.그리고나서 로드밸런서는 트래픽을 알맞는 서버에 분배한다. 위의 조건을 기반으로 과정을 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 Register 프로세스 : 서버와 로드밸런서간의 통신  🧾등록 과정 (Control Channel)각 서버는 로드밸런서에 연결된 후 자신이 제공할 서비스(프로토콜, 포트)를 등록한다.JSON 형식의 메시지를 통해 서버가 자신을 등록하며, 로드밸런서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트래픽을 분배한다.✏️1. 서버가 로드밸런서..
[JAVA로 로드밸런서 구현하기] 로드밸런서의 개념 (1)
·
Distributed System
✅ 로드밸런서란? 로드밸런서는 여러 서버에 걸쳐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동시에 여러 요청을 보내도 하나의 서버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시스템 성능과 가용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서버에 많은 트래픽이 몰리게 되면 서버는 부하를 감당하지 못하고 다운되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cale Up과 Scale out 방식 중 한 가지를 사용하여 해결한다. 📌Scale Up & Scale Out 📍Scale up스케일 업은 수직 확장이라고도 불리며, 기존의 서버나 인스턴스의 성능을 높이는 방식이다. 즉, 서버 자체에 리소스를 추가하는 방식이다.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CPU 추가 : 서버에 더 빠르고 강력한 CPU를 추가함으로써 처리..
J_hzlo
'로드밸런싱'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