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 Java] Item05. 자원을 직접 명시하지 말고 의존 객체 주입을 사용하라
·
Java & Kotlin/DesignPattern
🧐 들어가기 전...많은 클래스는 하나 이상의 기본 자원에 의존한다. 객체 지향 언어에서는 각각의 객체들이 서로를 필요로 하며,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해나간다. 객체는 서로의 메서드를 호출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하면서 협력하며,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을 구현한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의존하는 구조는 자연스럽게 나타나지만, 잘못된 설계 방식으로 인해 코드의 유연성과 재사용성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 단순히 new 생성자를 통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은 잘못된 방식일까?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객체의 인스턴스를 생성해야하고, 어떻게 의존성을 관리해야 올바른 설계를 할 수 있을까?✅ 기존의 문제점 1️⃣ 정적 유틸리티 클래스의 부적절한 사용public ..
[스프링 부트] 기본 개념 (IoC, DI, 빈, 컨테이너, AOP, PSA)
·
Java & Kotlin/Spring
0. 스프링 부트스프링의 설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스프링 부트 등장스프링 프레임 워크를 더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도구이다.프로젝트를 빠르게 설정할 수 있고 stater를 사용해 간편하게 의존성 관리가 가능하다.개발자가 조금 더 비즈니스 로직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도구이다.1. 스프링 부트의 주요 특징톰캣, 제티, 언더토우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가 내장되어 있어서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빌드 구성을 단순화하는 스프링 부트 스타터를 제공한다.XML 설정을 하지 않고 자바 코드로 모두 작성할 수 있다.JAR을 이용해서 자바 옵션만으로도 배포가 가능하다애플리케이션의 모니터링 및 관리 도구인 spring actuator를 제공한다.1-1. 스프링..
J_hzlo
'Di'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