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is] 분산락을 깊게 다뤄보자. (RedLock, Redisson)
·
Redis
🧐 들어가기전Redis에 대한 개념을 되짚어보다가, 분산락을 다시 한 번 살펴보게 되었고 문득 다음과 같은 궁금증이 생기게 되었다. "분산락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있지? 우리가 흔하게 쓰는 Redisson의 내부구조는 어떻게 생겼지?" "분산락은 비관락과 어떤 차이점을 지니고 있고 어떤 장단점을 취하고 있지? 주의해야할 부분이 뭘까?" "분산락은 내부적으로 스핀락 형태를 취하고 있는가? 아니면 뮤텍스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가? 아니면 세마포어?" 이 고민들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포스팅에서는 레디스 분산락을 깊게 다뤄볼 예정이다.🔸 1. Redis 분산락의 기본 구조분산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자원을 여러 서버 또는 프로세스가 동시에 접근하려고 할 때 경쟁 조건(race condition) 이 발생할 수 있..
[EC2] EC2에서 OpenVPN Client 설치해서 프라이빗 클라우드 호스팅하기 (ssh 연결 끊김 현상)
·
Infra
🧐 들어가기전❓ 프라이빗 클라우드 자원 활용 및 외부 접근성 확보에 대한 고민학교에서 이번에 Cloud 관련 사업을 하면서 실습 환경을 제공해주기 위해 학생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생각보다 쓸 수 있는 자원이 넉넉하였다. 따라서 해당 머신에서는 평소에 메모리를 많이 잡아먹어 하지 못하였던 실습들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 너무너무 좋았다.(오픈스택, elk 등등..)하지만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의 특성상 각 인스턴스에 프라이빗 IP만 발급되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이로 인해 해당 인스턴스에 접근하려면 VPN을 통해 사설 네트워크 망으로 접속하는 것이 필수적이었고, 이는 서비스 호스팅이나 외부와의 직접적인 공유 측면에서 아쉬웠다.최근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 빵빵한 ..
[Kotlin + SpringBoot] Flowise + LLM 에러분석 자동화 적용기
·
Java & Kotlin
🧐 들어가기전개발과 운영의 경계에서 늘 서비스 안정성에 대한 고민은 계속됐다. 특히 예측 불가능한 에러가 발생했을 때, 빠른 인지와 정확한 원인 분석은 장애 시간을 최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매번 발생하는 에러 로그를 일일이 확인하고 그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유의미한 패턴과 근본 원인을 찾아내는 일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고된 작업이었다.이 과정 속에서 조금 더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 그러던 중 최근 토스(Toss) 테크 글을 보게 됐고, "에러를 누군가가 분석해주고 결과와 해결 방법만 제시해서 알림만 오도록 구현할 수 있다면?"이라는 상상이 현실로 실현되는 자동화 구축 사례를 접했다. 해당 글을 참고하며, 우..
[CI/CD] blue/green 무중단 배포 (Docker, Github Actions, Nginx)
·
Infra/CI-CD
🧐 들어가기전 [CI/CD] Docker와 Github Actions으로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들어가기전최근에 예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코프링(Kotlin + Spring) 기반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당시에는 코드가 수정될 때마다 로컬에서 빌드한 파일을 서버에jhzlo.tistory.com기존에 Docker를 활용해 CI/CD 자동화 파이프라인을 구축했을 때는 개발과 배포가 한층 편리해졌다고 느꼈다. 자동화된 빌드와 배포 과정 덕분에 일일이 수동으로 작업하던 번거로움이 줄었고, 팀원들과의 협업도 수월해졌다. 하지만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니 불편한 점도 많았다. 특히 MVP가 어느 정도 완성된 후 실제 서비스를 배포했을 때, 생각보다 다양한 버그들이 눈에 띄었다. ..
[JSP] 서블릿, 서블릿 컨테이너 (feat.톰캣)
·
Java & Kotlin
🧐 들어가기전 최근에 k6로 부하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요청이 몰릴 때 톰캣이 밀리며 응답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상 자체는 이해가 갔지만, 정작 '톰캣이 밀린다'는 게 정확히 어떤 구조적인 이유에서 비롯된 건지는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톰캣이 뭔가 처리를 못하고 대기열이 쌓이는 건 알겠는데, 그 안에서 서블릿은 어떤 역할을 하고, 서블릿 컨테이너는 어디까지 책임지는지 등 기본적인 개념이 모호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톰캣의 동작 원리를 중심으로, 그 핵심 구성 요소인 서블릿과 서블릿 컨테이너에 대해 제대로 정리해보려고 한다.🔸Servlet(서블릿)1️⃣ 서블릿이란? 자바 기반의 웹 요청 처리용 서버 사이드 컴포넌트로, HTTP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그 결과를..
[Spring Data JPA] Offset 기반 Pagination 성능 향상하기 (index 설정, count 쿼리 캐싱)
·
Java & Kotlin/JPA
🧐 들어가기전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Pageable을 활용한 검색 필터링 API를 구현해야 했다. 이 API는 프로젝트의 핵심 자재인 원단을 등록하고 조회할 때 사용되며, 비즈니스 로직의 특성상 원단은 빈번하게 조회해야 하며, 조회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 단계의 로직이 수행되기 때문에 조회 성능이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해당 API는 총 다섯 개의 파라미터를 받는다.page, size, startDate, endDate, 그리고 fabricTypeName이며, 이 중 fabricTypeName만 필수로 입력받고 나머지 값들은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JPA Repository에서는 아래와 같이 @Query를 사용하여 JPQL로 조회 조건을 정의하였다: @Query( """ SELECT f F..
J_hzlo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