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만 투자하시면 하나의 지식을 얻어갈 수 있습니다
Smile .

ECONOMY/경제 개념

인플레이션 뜻? (원인, 문제점, 해결방안)

흐즐로 경제 2023. 1. 24. 00:40
반응형

요즘은 어느 정도 잠잠해지긴 했지만,
2022년 주식시장과 경제를 휩쓸고 간 한 단어가 있었죠.....
...
...
"인플레이션"

도대체 인플레이션이 뭐길래 왜 이렇게 금리를 올리는지, 왜 문제가 되는지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가집시다!


01. 인플레이션 (inflation)


1-1. 인플레이션 정의

인플레이션의 사전적 정의
: 통화량이 팽창하여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계속적으로 올라 일반 대중의 실질적 소득이 감소하는 현상.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정의만 읽었을 때는 이 뜻을 정확히 이해하기가 참 힘들어요

먼저, 통화량이 팽창하여 화폐가치가 떨어지다?

통화량이 팽창했다는 것은 우리가 돈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경제 상황이라는 거죠.

그러면 예를 들어서 생각을 해봅시다.
우리가 정부로부터 한 달에 사과를 100개를 받고 배를 1개 받는다고 생각을 해봐요
그러면 사과와 배중에 뭐가 더 가치가 낮나요?
네, 십중팔구 사과라고 대답할 거예요. 당연하잖아요 구하기가 쉬우니까요!

다시 말해서, 통화량이 팽창해서 화폐가치가 떨어진 거죠.

화폐가치가 떨어졌으니 대중의 실질적 소득은 감소한 거나 마찬가지겠죠?

두 번째로, 물가가 계속적으로 오른다?

화폐가치가 떨어진 것까지는 알겠어, 근데 왜 물가는 오르는 거야?
이 부분이 오늘 포스팅의 핵심입니다.
물가 상승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의 원인을 뜯어봐야 해요.

 

02. 원인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두 가지로 설명될 수 있어요.
수요 측 원인 & 공급 측 원인

원인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수요와 공급의 법칙(덧셈 뺄셈 수준의 난이도입니다)을 이해해야 해요.

수요와 공급의 법칙(출처: 경제학사전)

용어 정리부터 해드리겠습니다.

d : 수요곡선
d' : 수요가 증가했을 때
s : 공급곡선
s' : 공급이 증가했을 때
E: 균형 가격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교점)


정말 간단한 법칙이에요!
제가 알려드리는 두 가지 법칙을 그래프와 함께 같이 보면서 읽어봅시다.

1. 수요 증가(d'), 공급 그대로(s) => 교점 E'

가격 = N'
=> 물가가 올라간다.

2. 수요 그대로(d), 공급 증가(s') => 교점 E''

가격 = N''
=> 물가가 떨어진다.

자 이제 위의 두 가지 법칙을 가지고 인플레이션의 원인에 대해 접근해 볼 거예요.


2-1. 수요 측 원인

1) 화폐발행증가 (통화량팽창)


쉽게 말해서, 화폐의 양 >>> 재화, 서비스의 양입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돈의 가치는 떨어지고 소비자들의 지출이 증가하겠죠? (수요가 증가)
결과적으로 물가가 상승합니다.

2) 지출증가


1) 번과 비슷한 맥락인데요.
이거는 전쟁 때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가능해요.
전쟁 때는 사람들이 비상식량을 구비해 두기 위해서 마트에서 사재기를 하잖아요?
그러면서 지출이 확 늘어나는 거죠 공급량이 감당 못할 정도로요..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입니다.


2-2. 공급 측 원인

1) 기업의 생산비용증가


기업이 생산하는 데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은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고 지불해야 하는 임금이 높을 때입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생산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니 공급이 줄어들겠죠..?

공급이 줄어든다는 것은 상대적인 관점으로 바라봤을 때 수요량이 공급량보다 많은 거니까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 겁니다.

 

예를 들어, 1970년 때 오일쇼크로 인한 석유가격이 폭등했는데요. 이때 또한 기업들의 생산비용증가 문제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죠.

 

2) 농축산업의 인플레이션

 

이 부분은 우리가 살면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보통 자연재해(한파, 홍수, 가뭄, 조류독감과 같은 바이러스)로 인한 공급량의 부족으로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번외로 이번 21~22년도(현재까지도 진행 중)의 인플레이션은 코로나로 인한 화폐발행증가(재난지원금), 그에 따른 소비자들의 지출 증가로 소비자 물가지수 급등 그리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으로 인한 석유 원자재 가격 폭등이 여러 복합적인 원인들이 한꺼번에 덮쳐온 거예요!

03. 문제점


물가가 상승하는 것까지는 알겠는데, 왜 이게 그렇게 우리가 공포에 떨어야 하는가?



3-1. 소득분배의 문제점


위에서 화폐가치가 점점 떨어진다고 했죠?
채무자(돈을 빌린 사람) 채권자 (돈을 빌려준 사람) 사이에서 문제점이 발생해요.

채권자는 돈의 가치가 높았을 때 돈을 빌려줬는데,
이제는 돈의 가치가 떨어져서 구하기가 쉽거든요, 근데 빌려준 금액은 고정적이에요.
그래서 채권자는 가치가 떨어진 돈을 받게 되는 거죠..

또한, 일반 대중의 실질적 소득도 감소합니다.
인플레이션이 온다고 월급이 올라가지는 않잖아요?
그래서 화폐가치가 떨어진 상태에서 받는 것이니, 실제로는 소득이 감소한다고 볼 수 있어요.


3-2. 자원배분의 문제점

 

자산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요
금융자산 vs 실물자산
금융자산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액면가치가 정해져 있는 화폐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그리고 실물자산은 부동산, 원자재(오일)와 같은 실제로 가치가 있는 것들을 통틀어 이르죠.

 

사람들은 가치가 떨어진 화폐보다는 실제로 가치가 있는 실물자산에 투자하기 시작합니다.
(실제로 21년도 인플레이션이 우려되었을 때, 원자재 주가가 폭등하였다)
그러면서 시중에 있던 자원들이 실물자산으로 쏠리게 되어버리는 자원배분의 왜곡이 생깁니다.

 

04. 해결방안

 

4-1. 수요 측 해결방안

21년도부터 계속해서 오르는 금리를 볼 수 있다 (출처:네이버)

가장 대표적이고 지금 시기의 모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바로 '금리 인상'입니다.

 


금리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면?

 

[경제] 경제 개념 (1)- 금리란 무엇인가? (기준금리, 시중금리)

경제에 대한 기사를 보면 빠지지 않는 단골 단어가 있는데요. 바로 “금리”입니다. 그래서 막상 처음에 경제를 접할 때 금리에 대해 뭔지 몰라서 검색을 했는데, 사전적 의미가 우리를 더 헷갈

jhzlo.tistory.com


 

금리는 한마디로 '돈의 가치'라고도 볼 수 있는데요.

앞에서 말했듯이 인플레이션은 곧 돈의 가치 하락이나 다름이 없잖아요?

그래서 금리를 인상시킴으로써 돈의 가치를 높이고 저축을 유도함으로써 (수요를 줄임으로써) 인플레이션을 잡는 것입니다.

 

말로만 보면 엄청 단순하죠?

하지만 생각보다 이러한 해결책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보통 이런 식의 방법으로 인플레이션을 잡을 경우 곧바로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금리 인상에 따른 후폭풍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한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미국은 최대 금리를 21프로까지 올렸었고,

그에 따른 후폭풍이 기업들이나 국민들에게 휘몰아치며 엄청난 경기침체를 맞게 되었었죠.


4-2. 공급 측 해결방안

 

보통은 이러한 해결방안은 농산물 업계에 많이 해당합니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공급이 줄어들면 물가가 오르잖아요?

이거를 반대로 수요에 맞게 공급을 늘려서 물가를 잡는 겁니다.

 

정부가 가뭄이 들 때를 대비하여 농산물을 구매해 뒀다가 공급이 부족해질 때 내놓아 물가를 안정시킵니다.

또한 피해를 보는 농업계에 보조금과 같은 지원을 통해 공급에 안정을 더해줍니다.

 


이상으로 인플레이션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으로는 스태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과 더불어

인플레이션이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